라떼효과? 작은 돈을 무시하면 안되는 이유는?
당신은 라테 효과에 대해서 들어본 적이 있는가? 흔히들 복리의 마법에 대해 이야기를 할 때, 라테 효과를 많이 언급한다. 라테 효과란 과연 무엇이고 부자가 되려는 우리들에게 주는 메시지는 무엇인지, 왜 중요한지 알아보자.
1. 라떼효과란?
라테 효과란 하루에 한 잔씩 마시는 카페라테 금액(약 5,000원)을 아끼면 부자가 된다는것이다. 작은 카페라떼 한 잔이지만 단순 계산만 해봐도 1 달이면 15만 원이고 1년이면 약 180만 원이나 된다.
부자가 되고 싶은 많은 월급쟁이들은 1%의 수익률을 더 올리기 위해 고군분투한다. 하지만 이는 쉽지 않다. 펀드매니저나 금융전문가들에게도 수익률 1% 올리기는 어려운 일이다. 하지만 1%를 덜 소비하는 것은 상대적으로 훨씬 쉽다. 재테크의 기본은 소비를 줄이는 것이다. 종잣돈 마련의 시작은 저축을 늘리는 것이다.
2020/02/13 - [재테크] - 종잣돈 마련에 가장 중요한 것은?
종잣돈 마련에 가장 중요한것은?
투자를 하고 돈을 불리기 위해서는 종잣돈이 필요하다고들 말한다. 또는 라식/라섹을 하려고 하거나 여행을 가고자 하거나 결혼 준비를 하려고 할 때에도 종잣돈이 필요하다. 종잣돈이 필요한건 알겠는데, 과연 어..
richard-jang.tistory.com
2. 라테 효과가 복리를 만나게 된다면?
매일 아침 스타벅스에서 마시는 카페라테 한 잔 대신 직접 커피를 타서 마신다면? 매일 5천 원씩 일주일이면 35,000원이다. 주당 35,000원이 금리 10%를 만나게 되면...
(단위 : 천 원)
년수 | 금액 |
1년 | 1,885 |
2년 | 3,967 |
5년 | 11,616 |
10년 | 30,727 |
15년 | 62,171 |
30년 | 339,073 |
40년 | 948,611 |
40년을 모을 경우 무려 948,611,000원. 9억원이 넘는 금액이 된다.
3. 라테 효과... 가능한 이야기일까?
절약의 중요성과 투자의 중요성을 알려주는 라떼효과. 이에 대해 말하면 많은 사람들이 이렇게 말한다. 연 10% 금리는 말도 안 된다고, 요즘 예금, 적금은 끽해야 2%가 고작이라고 말이다.
하지만 1926년 이후 주식시장을 보면 연평균 10%가 넘는 수익률을 보여줬다. 호황도 있고 불황도 있지만, 전체적인 평균치를 보면 연평균 10% 이상의 수익률을 꾸준하게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. 항상 호황만 있는 시장도 없고, 항상 불황만 있는 시장도 없다.
2008년 대공황 이후 주식으로 돈 버는 것은 이제 끝났다고 했지만, 그 후 주식시장은 연평균 17% 이상의 수익률을 냈다.
이 적은 금액을 연금저축펀드나 과세이연이 되는 통장에 넣었다면 라테 효과는 복리를 만나 기하급수적으로 돈이 불어나게 될 것이다.
4. 라테 효과를 어떻게 내 삶에 적용할 수 있을까?
그렇다면 라떼효과를 어떻게 이용해야 할까? 매일 아침에 스타벅스에서 마시는 카페라테 한 잔이 소확행(소소하지만 확실한 행복)이라면? 사람들과 마시는 이 한 잔이 그 무엇보다도 나에게 큰 힐링이 된다면? 그렇다면 마셔도 된다.
라테 효과는 당신의 작은 행복을 포기하라는것이 아니다. 단순히 카페라떼를 예로 들었을 뿐이다.
라떼효과는 당신의 라테 요인(작지만 매일 내 부를 갉아먹는 것)을 찾아서 아끼고 투자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. 이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가계부 작성이 필수적이다.
2020/03/12 - [재테크] - 재테크의 첫 시작, 가계부 쓰는 방법?
재테크의 첫 시작, 가계부 쓰는 방법?
부자 되기의 첫걸음은 종잣돈 마련이다. 그리고 종잣돈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지출관리가 필수적이다. 그리고 이 지출관리는 가계부 작성에서부터 시작된다. 모두가 가계부 작성의 중요성을 알지만 실제로 가계부를..
richard-jang.tistory.com
가계부 작성을 통해 자신도 모르게 새는 돈을 찾아야 한다. 편의점에서 사는 생수 1병, 매일 피는 담배 1갑, 지각 때문에 발생하는 택시비 등 줄일 수 있는 금액을 찾아서 이를 아끼고 투자하면 되는 것이다.
매일 편의점에서 구입하는 생수병 1병이 모이면...(연 금리 10% 기준)
(단위 : 천 원)
기간 | 금액 |
하루 | 1 |
1달 | 30 |
10년 | 6,145 |
30년 | 67,815 |
50년 | 519,732 |
진짜 부자들은 작은 돈을 소중히 한다. 당신이 부자가 되지 못하는 이유가 티끌을 그저 티끌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은 아닐까? 티끌모아 태산이라는 말이 괜히 나온 게 아니다. 티끌을 모으다 보면 정말 태산이 된다.
2020/04/17 - [공부/독서] - 더 이상 가난한 부자로 살지 않겠다 : 부자가 되는 가장 쉬운 방법은?
더 이상 가난한 부자로 살지 않겠다 : 부자가 되는 가장 쉬운 방법은?
오랜만에 읽은 재미난 책이다. 이 책은 아마존, 뉴욕타임스, 월스트리트, 반스 앤 노빌 경제경영 부문에서 베스트셀러 1위를 달성한 책이다. 이야기 형식으로 풀어내서 책이 아주 편하게 읽힌다. 그리고 책이 전달..
richard-jang.tistory.com
2020/03/27 - [재테크] - 인버스 ETF 사도 될까?
인버스 ETF 사도 될까?
코로나 19 이후 주가는 계속 하락세를 나타내고 있다. 이런 상황 속에서 주가가 하락할 때 돈을 버는 인버스 ETF의 판매량은 날개 돋친 듯 팔리고 있다. 최근에는 기관투자가 역시 인버스 ETF을 매수하며 5일 동안..
richard-jang.tistory.com
2020/03/24 - [재테크] - 레이 달리오의 4계절(전천후) 포트폴리오란?
레이 달리오의 4계절(전천후) 포트폴리오란?
당신은 레이 달리오를 아는가? 그는 전 세계에서 가장 큰돈을 굴리는 헤지펀드 매니저다. 그가 움직이는 돈만 무려 180조 원 정도가 된다. 18억, 180억, 1,800억 도 아니고 무려 180조나 된다. 그는 가장 큰돈을..
richard-jang.tistory.com
2020/03/17 - [공부/독서] - 보도섀퍼의 돈 : 부자가 되는 첫 걸음은?
보도섀퍼의 돈 : 부자가 되는 첫 걸음은?
당신은 보도 섀퍼를 아는가? 그는 독일에서 태어나 미국으로 건너가 다양한 부자들을 만나며 부를 쌓고, 돈이 불어나는 원리를 배운 사람이다. 26살까지만 해도 빚에 허덕였지만, 30살이 되며 이자만으로도 먹고살..
richard-jang.tistory.com
2020/03/10 - [재테크] - 존리 대표가 생각하는 주식과 부동산?
존리 대표가 생각하는 주식과 부동산?
메리츠 자산운용의 존 리 대표는 주식 전도사로 유명하다. 그는 노후를 위한 주식 투자의 중요성을 강조한다. 그렇다면 부동산에 관한 그의 생각은 어떨까? 이번 글에서는 존리 대표가 생각하는 주식과 부동산에..
richard-jang.tistory.com
2020/02/28 - [재테크] - 당신이 주식 장기투자에 실패하는 이유는?
당신이 주식 장기투자에 실패하는 이유는?
주식은 정말 좋은 재테크 수단이다. 자본주의 사회에서 자본가가 될 수 있는 방법이다. 내가 주식을 소유한다는 것은 동업자가 된다는 것이며, 내가 자는 동안에도 그 회사의 종업원들이 나를 위해서 열심히 일을..
richard-jang.tistory.com
2020/03/05 - [재테크] - 주가, 펀드 수익률을 자주 확인하면 안되는 이유?
주가, 펀드 수익률을 자주 확인하면 안되는 이유?
당신은 당신이 매수한 주식의 주가를 얼마나 확인하는가? 구입한 펀드의 수익률은 얼마나 자주 확인하는가? 매일 확인하는가? 하루에도 몇 번씩 확인하는가? 나는 주가를 확인하고, 펀드의 수익률을 확인하는 이..
richard-jang.tistory.com
2020/02/23 - [재테크] - 복리의 힘? 돈은 버는게 아니라 불리는것이다!
복리의 힘? 돈은 버는게 아니라 불리는것이다!
누군가가 당신에게 와서 이런 질문을 던진다. A. 한 달 동안 매일 100만 원 받기 B. 지금 당장 10억 받기 C. 한 달 동안 매일 2배씩 늘어나는 10원 받기 당신은 무엇을 선택할 것인가? A는 3000만 원, B는 10억, C..
richard-jang.tistory.com
2019/12/15 - [재테크] - 부자되는 방법? 존리 대표 강연 요약
부자되는 방법? 존리 대표 강연 요약
유튜브를 보다가 우연히 메리츠 자산운용의 존 리 대표를 알게 되었다. 유튜버 신사임당과의 인터뷰를 통해서 처음 접하게 되었고, 그의 투자철학을 들으며 많은 생각을 하게 됐다. 존 리 대표의 여러 강연들을 들..
richard-jang.tistory.com
'재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액티브 TDF? 패시브 TDF? 어떤걸 선택해야 할까? (1) | 2020.04.30 |
---|---|
연금 부자 되는 방법? TDF가 뭐지? (1) | 2020.04.26 |
인버스 ETF 사도 될까? (0) | 2020.03.27 |
레이 달리오의 4계절(전천후) 포트폴리오란? (0) | 2020.03.24 |
코로나 바이러스 팬데믹 선언, 주식투자는 어떻게? 어떤 마음가짐으로? (0) | 2020.03.20 |